작업자가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영구 정지된 고리 1호기의 핵연료봉이 들어있는 내부구조물 벽면을 절단합니다. <br /> <br />구멍 있는 벽면 부분은 자르지 않는 등 절단 위치와 모양을 자유롭게 바꾸고, 두께에 따라 레이저의 세기도 바꿔가며 절단을 시도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훈련용 원전 해체 시뮬레이터입니다. <br /> <br />레이저의 출력과 벽면의 두께, 강도 등 실제 데이터값을 토대로 해체 작업에서 원전 구조물이 어떻게 절단되는지 물리적 현상까지 반영했습니다. <br /> <br />원자로 내부 수중 환경을 모사해 방사능 요소와 함께 다양한 절단 실험 결과를 축적 분석한 덕분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통해 작업자는 2차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한 절단 방법을 연습할 수 있고, 절단 폐기물을 용기에 최대한 효율적으로 적재하는 방법까지 훈련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정 /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: 레이저 출력이 얼마나 필요하고, 속도를 어떻게 할지 이걸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어떻게 출력을 제어하면서 (작업)할 수 있는가를 이 시뮬레이터가 어느 정도 예지를 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전 세계에서 영구 정지된 원전은 200기가 넘고, 30년 이상 운전한 노후 원전 역시 300기에 달해 앞으로 원전 해체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원전 해체 경험을 가진 나라는 미국과 일본, 독일, 스위스 등 4개국뿐이며, 이들 국가는 원자로 내부에 작업자를 투입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원전을 해체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개발한 시뮬레이터를 실물 모형과 연동해 원전 해체 훈련을 위한 '디지털 트윈'을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세계 원전 해체 시장 규모는 오는 2050년 2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개발한 훈련용 시뮬레이터가 실제 원전에서의 수중 절단 환경을 그대로 구현해낸 만큼 세계 원전 해체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11217254880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